기타/측량및 지형공간정보

[스크랩] 3. 도엽번호

Sidonio 2009. 8. 15. 18:55

3. 도엽번호

 도엽번호는 외도곽 우측상부에 표시한다. 지도를 청구할 때나 정리할 때 필요한 것이다. 도엽번호는 사람에게 있어 주민등록번호인 셈이다.

[그림 3] 1:250,000 지세도의 도엽번호


[그림 4] 1:50,000 지형도의 도엽번호


[그림 5] 1:25,000 지형도의 도엽번호


[그림 6] 1:5,000 지형도의 도엽번호


  도엽은 소축척에서 대축척으로 세분하여 제작해 가므로 1:250,000 지세도에서 1:5,000 지형도로 갈수록 도엽번호는 더욱 세분되고 복잡해 진다. 그 단계별 과정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.

① UTM 도법에 따라 지구표면을 세분하여 가로×세로 각각 1°30′× 1°규격의 1:250,000 지세도(남한 전역 13도엽)를 만든다

② 지세도 해당 도엽을 세분하여 가로×세로 각각 15′× 15′규격의 1:50,000 지형도를 만든다.

③ 1:50,000 지형도 해당 도엽을 4등분하여 가로×세로 각각 7′30″× 7′30″규격의 1:25,000 지형도를 만들고, 역시 1:50,000 지형도를 100등분하여 1′30″× 1′30″규격의 1:5,000 지형도를 만든다.


  1:50,000 수원 도폭의 경우 [NJ52-9-19 수원]에서 NJ52는 UTM 좌표구역, 9는 1:250,000 지세도 번호, 19는 1:50,000 지형도 위치이다. 이를 중심으로 도엽번호가 부여되는 과정을 단계별로 살표보면 다음과 같다.[그림 7 참조]

1:250,000

N

J

52

-

9

 

 

 

 

1:50,000

N

J

52

-

9

-

17

 

 

1:25,000

N

J

52

-

9

-

17

-

1

1:5,000

N

J

52

-

9

-

17

-

015

 

 

 

 

[그림 7] 도엽번호 부여 과정


  ① N은 국제 공통으로 북반구를 의미하며 남반구일 경우는 S가 된다.

  ② J는 적도로부터 북쪽으로 위도 4˚씩 분할하여 A, B, C, ····순으로 부여한 좌표구역 중 J번째라는 뜻이다. 즉 36∼40도 구역에 해당된다는 뜻이다. 한편 전라남도 진도 1:50,000 도폭의 도엽번호는 [NI52-5-22]인데 여기에서 알파벳 I는 J 앞에 오는 기호이므로 지도를 보지 않고도 위도 북위 32∼36에 속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 실제로 이 도폭의 위도 폭은 34°15′∼ 34°30′이다.

  ③ 52는 날짜변경선(경도 180°)을 중심으로 하여 동쪽(지구 자전방향)으로 돌면서 360°의 지구를 6°씩 분할하여 1, 2, 3 --- 60 순으로 부여한 좌표구역 중 52번째(동경 126°∼ 132°)라는 뜻이다. 즉 51은 120°∼ 126°이 되는데 우리 나라는 51∼52에 해당된다. 이렇게 되면 결국 경도와 위도에 의해 기본적으로 한 구역이 설정되는 데 이 때 한구역의 가로×세로 크기는 각각 6°× 4°가 되는 셈이다.

  ④ 9는 1:250,000 지세도 번호이다. 앞의 ①∼③에서 결정된 한 구역(6°× 4°)을 다시 가로·세로로 각각 4등분하면 16개 구역이 만들어지는 데 이 때 좌상(左上)에서 우하(右下)로 가면서 1∼16까지의 번호를 붙인다. 수원도폭에서 9라고 하는 수는 바로 9번째 구역이라는 의미이다. 이 때 16등분 중 한 구역의 크기는 가로×세로 각각 1°30′× 1°가 된다.

  ⑤ 19는 1:250,000 지세도 구역을 다시 28개 구역(가로 세로 각각 7, 4등분)으로 나누었을 때 19번째 구역이라는 뜻이다. 원래는 ④단계에서 만들어진 구역의 범위는 1°30′× 1°로서 이를 다시 가로·세로 각각 6등분·4등분 하면 24개의 구역이 만들어지고 역시 좌상에서 우하로 가면서 1∼24까지 번호를 붙이게 된다. 이 때 그 중의 한 구역의 크기는 가로×세로 15′× 15′이 된다. 이것이 1/50000 지형도의 도폭 크기이다. 그러나 우리 나라에서는 지형 및 위치적 특성으로 인해 가로를 1°45′, 세로를 1°로 설정하고 이것을 각각 7등분, 4등분하여 전체를 28등분하여 역시 좌상에서 우하로 가면서 1∼28까지의 번호를 붙인다.

  ⑥ 1:25,000과 1:5,000인 경우에는 1:50,000 지형도폭을 다시 각각 4등분, 100등분하여 하나의 번호를 더 부여하게 된다. 따라서 1:25,000인 경우에는 1∼4, 1:5,000인 경우에는 001∼100 중 하나의 번호가 마지막에 추가된다. 예를 들어 1:25,000 지형도 고창 도폭의 도엽번호는 NI52-1-17-2이며, 1/5000 지형도 부산(011) 도폭의 경우는 NI52-2-27-011 등과 같이 표시하게 된다. 그러나 1:50,000 과 1:25,000 지형도는 각 도엽마다 도폭명이 부여되지만 1:5,000 지형도는 도엽번호만 001-100까지 부여될 뿐 도폭명은 모두 1:50,000 지형도 도폭명을 그대로 쓴다. 다시말하면 1:50,000 지형도의 도폭명이 ‘부산’이라면 이를 쪼갠 100개 도엽의 1:5,000 지형도는 모두 도폭명이 ‘부산’이고 단지 도엽번호만 달리해서 표시한다는 말이다.
출처 : ♣━┏Life is cool ┓
글쓴이 : James 원글보기
메모 :

'기타 > 측량및 지형공간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보도 자료 - 전국토에 대한 중력 정보 구축  (0) 2009.10.28
펌-해양용어 30개  (0) 2009.08.21
(펌)지자기의 3요소  (0) 2009.08.14
(펌)중력측량  (0) 2009.08.13
{펌}우리나라 해안선 길이는?  (0) 2008.06.18